수업정리/반도체광소자공학3 3-3 정상상태와 캐리어 목표 1. 정상상태에서 과잉캐리어의 농도 정의 및 이해 2. 의사페르미 준위의 정의와 의사페르미 준위차의 의미 3. 전체 전류 밀도 4. 내부전계에 의한 에너지 밴드의 공간 변동 5. 열적평형상태의 이동도와 확산계의 관계 6. 정공에 대한 캐리어의 연속방정식과 정상상태 확상방정식 7. 공간 캐리어의 농도구배가 존재하는 정상상태에서 의사페르미 준위의 경사도와 전류크기 관계 1. 정상상태(온도가 일정)에서의 캐리어 생성 열적평형상태의 반도체에 정상적인 빛을 일정하게 조사할 경우, 반도체는 과도상태를 거쳐 광조사의 정상상태에 도달. 정상상태는 시간에 따른 물리량이 변하지않는 상태로 일정 전류의 흐름 또는 광 생성과 재결합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 열적평형상태는 열생성률과 재결합율이 같다. 열생성률 g(T) = α.. 2023. 12. 9. 3-2 과도상태와 재결합 목표 1. 직접, 간접재결합의 정의와 메커니즘 파악 2. 감쇄상수의 정의 3. 재결합중심과 포획중심의 정의, 재결합 중심의 활용 4. 광전도 감쇄실험을 통해 관찰할 수 있는 것 1. 과도상태에서의 직접재결합 1.1 과도상태에서의 직접재결합 과도상태 : 빛에 의해 여기된 전자가 전도대로 이동한 상태 직접재결합 : 여기된 전자가 불순물 준위를 거치지 않고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전자천이, 형광, 반딧불이 형 간접재결합 : 재결합 과정에서 불순물준위를 거침, 인광, 도깨비불 린 1.2 과잉캐리어의 농도 변화 조건 : 직접재결합확률이 일정하다고 가정, 저준위 주입 조건 저준위 주입 조건 과잉캐리어의 농도가 평형상태에서 다수캐리어농도(Po or no)보다 낮고 소수캐리어(Po or no)보다 높은 경우 과잉캐리어의.. 2023. 12. 8. 3장 광자와 과잉캐리어, 3-1 광흡수 목표 1. 광흡수에 의해 생성된 과잉캐리어가 광루미네선스로 나타나거나 광전도도를 변화시키는 원리를 알아본다 2. 반도체가 과도상태, 과잉상태일 때의 캐리어의 거동을 알아본다 3. 반도체에서의 재결합 메커니즘과 정상상태에서의 의사페르미 준위에 대한 개념을 이해한다. 4. 반도체내 과잉캐리어의 음직임, 즉 확산과 표동에 의한 전류의 생성과 전류 생성 메커니즘에 의해 반도체가 다양한 광전자소자 및 집적소자에 적용되는 것을 이해한다. 광루미네선스 : 들뜬 전자가 재결합하면서 광을 방출하는 것 1. 광흡수 광에너지가 반도체에 가해지면 광에너지와 Eg(갭에너지)와의 관계에 따라 3가지로 현상이 나뉜다. hv Eg인 경우 반도체가 빛을 흡수하기 시자하며, 흡수는 반.. 2023. 12. 7. 이전 1 다음